055-933-7463

뉴스

작성일 2023-05-29

a51ef0108172ed7ff24b32c97f260264_1685502193_14.jpg
 

합천호 관광지에서 가회, 신등 쪽으로 가다가 황매산 만남의 광장에서 우회전 하자마자 오른쪽 좁은 길로 내려가면 두심마을이다. 창녕에서 한 시간 거리이다. 경로당을 지나 마을 뒤에서 산으로 조금 올라가면 왼쪽에 운구대, 오른쪽에 운구서당이 있다. 주소지는 가회면 두심151-50이다. 이곳에 영남의 3(三隱)이라 부르는 만은(晩隱) 홍재(洪載), 모은(慕隱) 이오(李午), 금은(琴隱) 조열(趙悅)의 비가 있다. 이 글에서 3은이 아니라 3총사라고 표현하니 630여 년을 건너뛰어 훨씬 가까워진 느낌이다. 세 분의 비는 서당 옆의 도로변에 나란히 서 있었다. 이들은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와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의 문하에서 같이 공부하며 우정을 나누었던 젊은 선비였다.

쿠데타에 성공하여 1392, 조선 왕조를 만든 이성계의 회유와 탄압에 의해 두문동에서 72현이 전국으로 흩어질 때에 모은, 금은, 만은도 남하했다.

모은 이오는 경상도 함주(咸州, 현재의 함안)의 모곡(茅谷)에 이르러 자미화(紫薇花)가 만발한 곳을 보고는 길지로 생각하여 평생 살 곳으로 정하였다. 지금까지 수령 600년의 자미단(紫微壇)으로 남아 있다. 함주는 막역한 친구인 조열이 있는 곳이었다. 모은은 이곳에 고려동을 조성하면서 먼저 복거지(卜居地) 주변에 담장을 쌓고 집을 지었다. 그리고는 약 3천 평 규모의 고려전(高麗田)을 조성하여 여기에도 담장을 두르고는 이를 터전 삼아 생계를 유지하면서 담장 밖에서 들어오는 일체의 것은 조선 왕조의 것이므로 먹지 않겠다고 맹세하였다. 담장 밖의 천하는 조선 왕조의 땅이라 할지라도 고려동 만큼은 고려 유민의 거주지임을 뜻하는 고려동학(高麗洞壑)’이라는 비석을 세우고, 망복수의(罔僕守義)(망국의 신하로서 의리를 지켜 새 왕조의 신복이 되지 않으려는 절조를 말한다. 은나라가 장차 망하여 할 무렵 기자가 은나라가 망하더라도 나는 남의 신복이 되지 않으리라라는 말에서 유래됐다.)의 표적으로 삼았다. 

일종의 치외법권 지역이었다. 이 마을은 담장을 둘렀다고 해서 마을 이름을 담안리라 하였는데, 지금은 한자로 바꾸어 장내(牆內)마을이라고 부른다. 고려동 유적지 입구의 버스정류장 이름도 장내이다. 이렇게 모은은 재녕이씨(載寧李氏)의 함안 입향조(入鄕祖)가 되었다. 모은이 직접 조성하였던 고려전은 현재 경상남도 기념물 제56호로 지정되어있다. 모은은 조선 태종 때에 여러 번 불러도 출사(出仕)하지 않았다. 고려동의 그윽한 대숲과 자미원을 노래하며 망국의 슬픔을 달랬다.

 

전점석(경남작가회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