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민들 전두환 잔재 확인하러 합천 찾아, 군수, 군…
광주시민단체협의회-5.18기념재단, 일해공원 명칭변경, 전두환 잔재 청산법안 촉구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와 일반인 등 광주시민들이 버스 2대를 타고 합천을 방문했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와 5·18기념재단이 준비한 이번 합천방문은 지난 5.18기념식에서 합천의 생명의숲되찾기합천군민운동본부 회원들의 전두환 잔재 청산을 위한 입법촉구 활동에 이은 것으로 '일해공원 명칭변경, 전두환 잔재 청산법안 촉구'를 내걸고 지난 6월 21일 합천을 찾았다.합천 출신 전두환(1931~2021)은 12·12군사반란, 5.18광주항쟁의 유혈진압, 반란 수괴 등으로 대법원에서 무기징역을 언도받았고, 전직대통령예우에관한법률에 따라 전직 대통령의 예우가 박탈되었다.하지만 전두환 출신지 합천군에는 전두환 관련 기념물인 합천군청 뜰에 있는 기념식수 표지석, 새천년생명의숲에서 그의 아호를 따서 붙인 일해공원, 그리고 합천군 율곡면 내천리에 있는 생가 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일해공원 명칭을 둘러싼 갈등은 합천군민들간에 명칭확정 당시부터 18년째 갈등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합천군은 그동안 갈등을 외면해 오다 2년전부터 지명위원회를 통한 해법 마련에 나서는 듯 보였지만, 현재는 지역여론 수렴이라는 딱지를 달고 흐지부지된 상태이다.그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일해공원' 명칭을 바꾸기 위해 활동해온 생명의숲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는 지난해 11~12월 사이 '전두환을 찬양하는 공원 폐지 및 관련 법률 제정 요청에 관한 청원' 운동을 벌여, 관련 규정(5만명)보다 두 배가 넘는 10만 5685명의 서명을 받아 국회에 제출하기도 했고, 이후 입법촉구를 위한 시민서명운동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한편, 광주시민단체협의회와 5·18기념재단이 합천을 찾아 합천군민운동본부 관계자들을 격려하고, 전두환 잔재 3곳을 직접 방문 확인하면서 “우리가 무엇을 함께 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자리였다"고 밝혔다.특히 일해공원을 찾은 이들은 "국민이 나섰다. 국회는 응답하라. 일해공원 폐지법안 지금 당장 발의하라"라고 쓴 펼침막으로, '일해공원'이란 표지석의 글자를 덮어버렸다.함께 동행한 최기영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광주전남지부 사무처장은 "이곳들은 합천만의 문제가 아니다. 5.18 역사왜곡이고, 역사왜곡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걸 의미하며, 지금 뿐만 아니라 미래의 문제이기도 하다"라며 "합천, 광주뿐만 아니라 전국민이 관심을 가져할 것이다"라고 전했다. 합천군수, 군의회 의장 면담 또 거절 한편 이들은 이날 방문에 앞서 합천군수와 합천군의회 의장 면담을 통해 입장을 전달하고 이야기 나누기를 요청했으나 합천군수는 거절의사를 밝혔고, 군의회 의장은 답변조차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앞서 지난해 12월12일 5.18어머니회 등 5.18 단체회원들의 합천 방문 당시에도 합천군수는 면담을 거절했고, 군청내 농성으로 이어지는 일까지 벌어졌었다. 이에 이번 방문에 대해 합천군은 합천군청 정문 입구를 처음부터 닫아걸고 화장실 이용조차 못하도록 막아버리며 면담도 거부했다.결국 합천군청 앞에 설치된 전두환 기념식수 표지석을 살펴본 후 합천군 관계자에게 입장문을 대신 전달하고 이동했다. 합천군 관계자는 ”지난 12월 12일 방문에서 벌어진 농성사태로 인해 이번에도 충돌이 빚어질지도 몰라 예방차원에서 문을 잠근 것이다“고 전했다.고동의 합천군민운동본부 간사는 "군청과 군의회에 2주 전에 공문을 보내 면담 요청했으나 거절을 당했다"며, "군수는 아무런 사유도 없이 거절했고, 군의회 의장은 연락이 되지 않았다"고 전했다.합천군은 지난해 일해공원 명칭 갈등과 관련한 공론화 추진이 무산된 이후 지금까지 관련 계획을 내놓지 않고 있다. 배기남 기자(hchknews1@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