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5-933-7463

뉴스

작성일 2021-11-02

1893a504db6c271e7db924e3d6aca852_1636524146_76.jpg 

 

-이덕일 소장, “일본서기를 인정하면 합천 다라국은 일본에 점령당한 국가이다.” 

 

전북도와 문화재청, 경북도, 경남도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와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가 주관한 가야고분군에 대한 세계유산 등재 추진의 현황과 쟁점을 짚어보는 전문가 토론회가 지난 112일 합천박물관에서 열리며, 유네스코 등재 과정에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다라국’, ‘기문국지명 사용 문제에 대해 대립된 토론이 이어졌다.

사학계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이날 토론회 발제는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추진단 하승철 박사의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추진과 OUV(Outstanding Universal Value·탁월한 보편적 가치)'와 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의 '기문·다라 명칭의 문제점'으로 이뤄졌고, 발제 내용의 주 쟁점은 합천 다라국’, 남원 기문국으로 표기하고 있는 지명 명칭 논란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발제는 짧게 진행하고 이어진 토론에서는 계명대학교 노종국 명예교수를 좌장으로 김수지(순천향대학교 글로벌한류문화학과 박사과정), 박천수(경북대학교 교수), 백승옥(국립해양박물관 학예연구실장), 정암(전 관동대학교 겸임교수) 등이 주로 지명 명칭 논란을 두고 열띤 토론을 진행했다.

하승철 단장은 2011년부터 현재까지 추진된 유네스코 등재 과정을 요약 설명했고, 등재될 유산은 반드시 탁월한 보편적 가지를 입증해야 하며, 진정성과 완전성, 보존관리 요건을 충족해야 하는 것이 기준이라며, 현재 논란이 된 기문국’, ‘다라국지명을 합천가야, 남원가야로 하자라는 주장은 이에 위배되는 것으로 불가능 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 6개의 등재 기준 중 3번째 기준인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에 초점을 두고 고분군을 중심으로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등재 추진에서 조작된 일본서기를 활용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일본서기의 전반부는 허구의 내용으로 학계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지만, 6세기 이후의 기록은 삼국사기 기록과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어 신빙성이 높고, 지명이나 국명, 인명 등의 고유명사의 표기는 인정할 수 있다는 입장이 현 입장이다.”고 밝혔다.

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은 가장 큰 쟁점인 임나임본부설은 일본서기에 나오는 임나의 위치를 한반도 남부에 있었던 가야로 보는가, 가야계가 일본에 진출해 세운 분국으로 보는가의 문제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하지만, 가야사 복원을 진행하면서 임나임본부설을 극복했다고 주장하면서, 임나는 가야라고 하는 것이 어떻게 극복한 것인지 이해가 가질 않는다며 근본적인 문제점을 다시 지적했다.

, “우선은 일본서기를 있는 그대로 보는 태도도 필요하다는 입장에 대해 사료비판도 생략하고 일본서기의 눈으로 보자는 주장을 하는 사람이 한국 역사학자인가?”며 비판했고, “일본서기의 눈으로 본다면 고구려,백제,신라,가야는 모두 야마토 왜의 식민지라는 주장을 인정하는 꼴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다라지명에 대해서는 일본서기에 나온 야마토 왜가 침략해 점령했다는 주장에 근거해 나온 가야 7국의 이름을 인용해 다라국이라고 비정하는 관점이 문제다.”, “6가야 외에도 합천에 다라국이 있었을 수도 있다. 일본내에도 다라라는 지명이 많이 나오는 것은 합천 다라사람들이 일본에 진출해서 이뤄졌다고도 볼 수 있다.”는 분국설 입장도 같이 제시하며, 현재는 이를 뒤집어 인용하는 것이 문제라며, 함께 검증하는 시간을 갖길 바란다고 전했다.

좌장을 맡았던 계명대학교 노종국 명예교수는 가야는 통일 왕국이 아니다. 안에 들어가보면 각각 다른 연맹체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하나의 가야사로 묶어 말하기는 어렵다, 여러 국들이 있어 각각의 문화를 발전시켜온 연맹체라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다.“고 말하며, 이날 토론회를 폐회했다.

한편 현재 국내에서 세계유산 등재 추진에 나선 가야고분군은 모두 7개 유적으로 전북 남원의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과 경남 김해의 대성동 고분군, 함안 말이산 고분군, 합천 옥전 고분군, 고성 송학동 고분군,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을 비롯해 경북 고령의 지산동 고분군 등이다.

이날 발표와 토론 등 전 과정은 국립문화재연구소 유튜브로 공개되어 있어 확인이 가능하다.

-배기남 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